연준 방법론 차용… 연령·세대·성 변화 반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연준 방법론 차용… 연령·세대·성 변화 반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5-23 10:57

본문

연준 방법론 차용… 연령·세대·성 변화 반영고령화 여파로 경제활동참여율·취업자 수 둔화고용정보원도 “2029년엔 취업자 수 감소 전환” 한국은행이 인구 감소를 반영한 고용전망을 만들어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진단하겠다는 취지다. 한은은 늦어도 다음달 중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23일 조선비즈 취재에 따르면, 한은이 고용지표 개발에 나선 배경에는 현재의 고용통계가 구조적 인구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이 있다. 인구 고령화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취업자 수 통계 외에 시장에서 참고할 지표가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지난달 9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수원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참여기업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한 한은 관계자는 “인구구조를 감안하면 취업자 수가 예전처럼 늘어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이대로라면 경기가 좋아도 고용이 감소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므로, 시장과 정확히 소통하기 위해 구조변화를 반영한 지표가 필요하다”고 했다.한은은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고용지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틀을 모색해 왔다. 이 과정에서 참고한 것이 연방준비제도(Fed) 소속 애런슨(Aaronson) 등이 2006년 발표한 논문 ‘최근 경제활동 참여율 하락과 잠재적 노동공급에 대한 함의‘이다.이 논문에서는 미국 노동통계청(BLS)의 ‘현재 인구 조사(CPS, Current Population Survey)’ 자료를 토대로 2000년 이후 경제활동 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추세를 연령과 시기, 출생세대(cohort) 등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했다. 분석에는 특정 세대가 노동 시장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코호트 기반 참여율 모형(Cohort-Based Participation Model)’을 사용했다.분석 결과 고령층 인구 비중이 증가하면서 전체 경제활동 참여율에 대한 하방 압력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동시간 증가율도 둔화했다. 교육 기간 증가로 인한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지연과, 1990년 후반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정체 등도 구조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한은도 연준과 비슷한 결과를 도출했다. 고령화가 심화할수록 경제활동 참여율은 하락하고, 취업자 증가 추세도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준 방법론 차용… 연령·세대·성 변화 반영고령화 여파로 경제활동참여율·취업자 수 둔화고용정보원도 “2029년엔 취업자 수 감소 전환” 한국은행이 인구 감소를 반영한 고용전망을 만들어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진단하겠다는 취지다. 한은은 늦어도 다음달 중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23일 조선비즈 취재에 따르면, 한은이 고용지표 개발에 나선 배경에는 현재의 고용통계가 구조적 인구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이 있다. 인구 고령화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취업자 수 통계 외에 시장에서 참고할 지표가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지난달 9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수원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참여기업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한 한은 관계자는 “인구구조를 감안하면 취업자 수가 예전처럼 늘어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이대로라면 경기가 좋아도 고용이 감소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므로, 시장과 정확히 소통하기 위해 구조변화를 반영한 지표가 필요하다”고 했다.한은은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고용지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틀을 모색해 왔다. 이 과정에서 참고한 것이 연방준비제도(Fed) 소속 애런슨(Aaronson) 등이 2006년 발표한 논문 ‘최근 경제활동 참여율 하락과 잠재적 노동공급에 대한 함의‘이다.이 논문에서는 미국 노동통계청(BLS)의 ‘현재 인구 조사(CPS, Current Population Survey)’ 자료를 토대로 2000년 이후 경제활동 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추세를 연령과 시기, 출생세대(cohort) 등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했다. 분석에는 특정 세대가 노동 시장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코호트 기반 참여율 모형(Cohort-Based Participation Model)’을 사용했다.분석 결과 고령층 인구 비중이 증가하면서 전체 경제활동 참여율에 대한 하방 압력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동시간 증가율도 둔화했다. 교육 기간 증가로 인한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지연과, 1990년 후반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정체 등도 구조적인 요인으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중동 910 (주)애드파인더 하모니팩토리팀 301, 총괄감리팀 302, 전략기획팀 303
사업자등록번호 669-88-00845    이메일 adfinderbiz@gmail.com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7-충북청주-1344호
대표 이상민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경율
COPYRIGHTⒸ 2018 ADFINDER with HARMONYGROUP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