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관세 부과 영향 본격화되기 전 추가 인상美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6-01 21:25본문
3월 관세 부과 영향 본격화되기 전 추가 인상美 철강 수요 위축, 수입산 경쟁 심화 우려도내수침체·中 저가공습에 일부 韓공장 셧다운美 철강업 가동률 75%…수입산 대체 한계[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국내 철강업계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철강 관세 50% 인상 발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3월 무관세 쿼터제를 폐지하고 모든 철강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25%의 관세를 부과한 지 석 달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추가 인상을 예고한 것이다. 현재 국내 철강업계는 내수 부진과 중국산 저가 공세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 업체는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관세 인상까지 겹치며 업계 전반에 적잖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5월 美철강재 수출 6.7% 줄어 1일 한국무역통계정보포털(TRASS)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재 수출량(잠정치)은 13만8673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만7934t)보다 6.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다만 전문가들은 지난 3월 시행된 25%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다고 보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미국의 보편관세 공표 후 철강 수출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은 일반적으로 시행 이후 2~3개월 뒤부터 본격화된다”며 “최근 수출 감소는 관세 영향보다는 지난해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철강 수요가 위축되고, 수입산 제품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산 철강재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번 50% 관세 인상은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실제로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미국 내 철강 유통 가격은 30%가량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로 인한 수입가 상승이 전체 시장 가격을 끌어올린 것이다. 이는 결국 수입 감소와 함께 전반적인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범용 철강 제품의 경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美공급망 충격…강행 여부 촉각더욱이 현재 우리나라 철강 내수 시장은 오랜 침체에 빠져 있다. 제조업과 건설업 경기 둔화로 철강재 수요가 3월 관세 부과 영향 본격화되기 전 추가 인상美 철강 수요 위축, 수입산 경쟁 심화 우려도내수침체·中 저가공습에 일부 韓공장 셧다운美 철강업 가동률 75%…수입산 대체 한계[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국내 철강업계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철강 관세 50% 인상 발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3월 무관세 쿼터제를 폐지하고 모든 철강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25%의 관세를 부과한 지 석 달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추가 인상을 예고한 것이다. 현재 국내 철강업계는 내수 부진과 중국산 저가 공세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 업체는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관세 인상까지 겹치며 업계 전반에 적잖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5월 美철강재 수출 6.7% 줄어 1일 한국무역통계정보포털(TRASS)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재 수출량(잠정치)은 13만8673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만7934t)보다 6.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다만 전문가들은 지난 3월 시행된 25%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다고 보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미국의 보편관세 공표 후 철강 수출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은 일반적으로 시행 이후 2~3개월 뒤부터 본격화된다”며 “최근 수출 감소는 관세 영향보다는 지난해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철강 수요가 위축되고, 수입산 제품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산 철강재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번 50% 관세 인상은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실제로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미국 내 철강 유통 가격은 30%가량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로 인한 수입가 상승이 전체 시장 가격을 끌어올린 것이다. 이는 결국 수입 감소와 함께 전반적인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범용 철강 제품의 경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美공급망 충격…강행 여부 촉각더욱이 현재 우리나라 철강 내수 시장은 오랜 침체에 빠져 있다. 제조업과 건설업 경기 둔화로 철강재 수요가 크게 줄었고, 중국산 저가 철강재가 대거 유입되며 국산 제품은 가격 경쟁력을 잃고 있다. 결국 생산할수록 오히려 손해가 발생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몇몇 업체들은 아예 공장 가동 중단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최근 동국제강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220만t 규모의 인천 철근 생산 공장을 한
- 이전글Answers about Authors, Poets, and Playwrights 25.06.01
- 다음글In Cup action, Magic out to stay hot vs. slumping 76ers 25.06.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