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미진한 군함도 후속 조치 유네스코 논의에 제동…한일 표대결까지 이어져정부, 유감 표하면서도 "미래지향적 협력 이어나갈 것"…분리 대응 기조 재확인회의중 발언하는 한국측 대표[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김지연 기자 = 일본이 일제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었던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은 물론 이에 대한 유네스코 논의에도 제동을 걸었다. 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의 군함도 관련 후속조치의 이행상황을 위원회가 평가하자는 한국의 제안이 일본의 반대 끝에 결국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과거사를 두고 초유의 한일 간 표 대결까지 벌어졌지만, 일본의 군함도 후속 조치를 유네스코가 다시 평가해야 한다는 한국의 주장보다는 한일 간 양자 차원에서 해결할 문제라는 일본 측 주장에 표심이 더 몰린 것이다. 일각에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이어지는 한일 간 우호적인 분위기를 고려하면 양국이 이견을 좁힐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결국 전례가 없는 표 대결까지 치르면서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경직된 태도만 재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회의중 발언하는 일본측 대표[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일본과의 표 대결에서 밀린 건 어느 정도 예상 가능했다는 평가도 있다. 일본이 한국의 세배 규모의 분담금을 유네스코에 내와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일본이 유산을 등재하면서 약속한 후속조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한국의 주장이 아무리 맞는다지만, 위원국들의 표심을 돌려놓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해상에서 바라본 군함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조선인 징용·위안부와 관련해 강제성이 없었다는 주장을 강화하는 등 전체 역사를 외면하고 자국에 유리한 사실만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2020년 정보센터를 유산이 많은 규슈가 아닌 도쿄에 설치하는 한편,일, 미진한 군함도 후속 조치 유네스코 논의에 제동…한일 표대결까지 이어져정부, 유감 표하면서도 "미래지향적 협력 이어나갈 것"…분리 대응 기조 재확인회의중 발언하는 한국측 대표[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김지연 기자 = 일본이 일제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었던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은 물론 이에 대한 유네스코 논의에도 제동을 걸었다. 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의 군함도 관련 후속조치의 이행상황을 위원회가 평가하자는 한국의 제안이 일본의 반대 끝에 결국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과거사를 두고 초유의 한일 간 표 대결까지 벌어졌지만, 일본의 군함도 후속 조치를 유네스코가 다시 평가해야 한다는 한국의 주장보다는 한일 간 양자 차원에서 해결할 문제라는 일본 측 주장에 표심이 더 몰린 것이다. 일각에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이어지는 한일 간 우호적인 분위기를 고려하면 양국이 이견을 좁힐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결국 전례가 없는 표 대결까지 치르면서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경직된 태도만 재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회의중 발언하는 일본측 대표[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일본과의 표 대결에서 밀린 건 어느 정도 예상 가능했다는 평가도 있다. 일본이 한국의 세배 규모의 분담금을 유네스코에 내와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일본이 유산을 등재하면서 약속한 후속조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한국의 주장이 아무리 맞는다지만, 위원국들의 표심을 돌려놓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해상에서 바라본 군함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조선인 징용·위안부와 관련해 강제성이 없었다는 주장을 강화하는 등 전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