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수백명의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한 미국 텍사스 홍수 참사 지역에 또다시 폭우가 내려 실종자 수색작업이 중단됐다.미 기상청(NWS)은 13일(현지시간) 텍사스 중부 내륙 지역을 일컫는 '힐 컨트리'에 이날 오후 7시까지 홍수주의보를 내린다고 밝혔다.지난 4일 발생한 홍수 피해 지역인 과달루페 강 일대를 비롯해 대도시인 오스틴과 샌안토니오의 서북쪽 내륙 일대가 이날 오전부터 홍수 영향권에 들었다.NWS는 이 지역의 강수량이 평균 51~102㎜, 일부 지역에서는 305㎜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 지난 24시간 동안 152~254㎜의 강수량이 보고된 곳도 있다.악천후로 인해 과달루페 강 일대에서 전날까지 8일간 이어진 실종자 수색 작업은 이날 중단됐다. 지역에서 활동하던 수색대원들과 자원봉사자들 모두 대피령을 받았다.과달루페 강 일대에는 다음 날 오전까지 홍수 경보가 발령됐으며 기상 예보관들은 주민들에게 침수된 도로나 다리 위를 운전하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기상 예보관들은 이번 폭우가 지난주 참사를 일으킨 폭우보다는 강도가 약할 수 있지만, 이미 큰 피해를 본 지역의 지반이 매우 취약한 상태일 수 있다며 접근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기상학자 올랜도 버뮤데즈는 "오늘 내리는 비는 빠르게 토양에 침투해 모든 것을 떨어져 내리게 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NYT)에 말했다.지난 4일 과달루페 강 상류 지역에서는 폭우가 시작된 지 1시간도 채 되지 않아 강물이 8~9m 높이로 불어나면서 강변의 주거지와 어린이 캠핑장 등을 휩쓸어 당시 강 상류 인근 숙소에서 머물던 캠프 참가 어린이 36명을 비롯해 129명이 숨진 것으로 현재까지 확인됐다. 실종된 160여명의 행방은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이메일 :jebo@cbs.co.kr카카오톡 :@노컷뉴스사이트 :https://url.kr/b71afnCBS노컷뉴스 이승훈 기자 yycub@naver.com진실엔 컷이 없다 【파이낸셜뉴스 하노이(베트남)=김준석 특파원】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최대국가인 인도네시아가 추진하는 초대형 국책사업, '누산타라 신수도(IKN)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속도를 내고 있다. 누산타라 프로젝트는 현재 수도로 기능하고 있는 자카르타가 인구가 밀집해 과밀로 인한 지반침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식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서 수도 이전 필요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9년 자카르타에서 1200km 떨어진 칼리만탄섬(보르네오섬)의 발릭파판 지역에 새롭게 수도를 조성하기로 결정하고 사업을 추진해왔다. 누산타라 신수도는 서울의 4배 규모에 달하는 거대 도시 프로젝트로 총사업비만 40조원이 넘는다. 2028년 수도 이전을 목표로 2024년 1단계 개발을 마무리하고 핵심 정치 기능의 이전을 시작했다. 누산타라 신수도 프로젝트는 행정, 인프라, 기술, 문화까지 포괄하고 있고 워낙 규모가 커 성공 여부에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이 같은 리스크를 감수하면서도 초기 사업권을 대거 확보하며 주도권 선점에 나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후발주자인 한국은 스마트시티, 수자원, 도시 운영 서비스 등에서 많은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만큼 후속 사업에서 협력할 여지가 크다는 평가다. ■정부청사·도로 등 1단계 사업 마무리 13일 콤파스를 비롯한 인도네시아 주요 매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최근 도로·청사·음용수 등 9개 전략 사업에 대한 2단계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핵심 간선도로인 '숨부 티무르'(12㎞) 구간은 지난달 중순 완공됐으며, 대통령궁과 입법·사법청사, 정부조정청 복합청사 등 주요 행정시설도 준공 또는 마감 공정에 접어들었다. 누산타라의 행정 중심지구(KIPP)는 외형상 도시 기능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행정 인력 이주도 본격화됐다. 이달 초 중앙정부 공무원 후보자(CPNS) 574명이 누산타라 내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했으며, IKN 행정청 전체 직원 1100여명 중 절반 이상이 현지에 배치돼 실질적인 행정 이관이 진행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다음달 17일 독립선언 80주년 기념식을 누산타라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지난 1월 "2029년까지 누산타라 건설을 위해 48조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