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스타인
엡스타인 파일 공개 촉구 광고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미국 정가 '태풍의 눈'으로 부상한 금융 갑부 출신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2019년 사망) 관련 파일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름이 누차 적시돼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백악관은 즉각 '가짜뉴스'라며 부인했지만, 이 보도를 계기로 엡스타인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계에 대한 의혹을 둘러싼 논란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WSJ에 따르면 팸 본디 법무부 장관과 참모들은 지난 5월 백악관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같은 사실을 보고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다른 유명 인사들 이름이 '엡스타인 파일'에 등장한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본디 장관 등은 이 회의에서 엡스타인 파일에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수백명의 이름이 등장한다면서, 엡스타인과 어울린 사람들에 대한 검증되지 않은 소문들이 적시돼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말했다고 WSJ은 전했다.본디 장관 등은 그러면서 엡스타인 파일에는 피해자의 개인정보 등이 적시돼 있기 때문에 파일을 새롭게 공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은 법무부의 결정에 맡기겠다고 했다. 또 법무부의 지휘를 받는 연방수사국(FBI)의 캐시 파텔 국장도 다른 행정부 당국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 이름이 엡스타인 파일에 등장한다는 사실을 사적으로 밝혔다고 WSJ은 전했다. 수사 당국이 확보한 엡스타인의 성범죄 관련 증거자료와 참고자료 등이 포함돼 있을 '엡스타인 파일'에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맥락에서 거론됐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거명된 것 자체가 트럼프 대통령이 잘못을 저질렀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 보도는 엡스타인 사건과 관련한 트럼프 행정부 입장 변화 배경을 추정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 등으로 체포돼 2019년 수감 도중 스스로 생을 마감한 엡스타인 문제와 관련, 본디 장관은 지난 2월 그의 '접대 리스트'를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 말했다. 그러나 그가 지휘하는 법무부는 지난 7일 엡스타인 '접대 리스트'는 없으며, 추가 공개할 문서도, 새롭게 수사할 사항도 없다며 장관의 말을 180도 뒤집었 전청조, 고유정.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수용자간 펜팔을 하며 체모, 체액까지 주고받는다는 사실이 전해졌다. 23일 방송된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유퀴즈) 303회에는 여성 강력 범죄자들을 집중 수용하는 최초의 여성 교도소 청주여자교도소 김혜정, 도유진 교도관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청주여자교도소는 전과 10범 사기 행각을 벌인 전청조, 전남편 살인 사건의 고유정, 보험 연쇄 살인 사건 엄인숙, 여대생 청부 살인 윤길자, 정인이 사건 장하영 등 국민적 공분을 산 강력 범죄를 저지른 수용자들이 수감된 곳이다. 이날 두 교도관은 업무 고충을 묻자 "수용자들끼리 펜팔을 그렇게 많이 한다. 저희가 그 안에 내용은 규정상 검열을 할 수가 없어서 들어오는 편지, 나가는 편지가 있으면 안 되는 부정물품만 보안 검열한다. 펜팔을 많이 하다 보니 하루 수백 통의 편지를 일일이 분류하고 검수하는 게 고충"이라고 토로했다. 아는 사이가 아닌데 편지를 주고받는 거냐며 유재석이 놀라자 그는 "서로 자기들끼리 소개해준다. 'XXXX번 형이 있다. 잘생겼다. 혹시 그 방에서 소개해 줄 수 있냐'고. 사실 편지를 주고받으려면 수용 번호를 알아야 편지가 간다. 랜덤으로 수용번호를 써서 발송하면 그게 우연히 매칭이 되기도 한다. 그렇게 펜팔을 많이 한다"고 설명했다. 교도관은 "섬유 유연제 안에 보관했다가 좋은 향기가 나게끔해서 상대방에게 발송하기도 한다"며 심지어 편지 안에 "상상도 못 하겠지만 체모나 체액이 같이 있기고 하다"고 말해 충격을 자아냈다. #교도소 #교도관 #고유정 #전청조 #펜팔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엡스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