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로이터=뉴스1) 권영미 기자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싱가포르 로이터=뉴스1) 권영미 기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7-24 15:40

본문

(싱가포르 로이터=뉴스1) 권영미 기자 = 24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리는 세계 아쿠아틱스선수권대회 하이다이빙 여자 20미터(m) 경기의 미국의 카일라 아넷 선수. 2025.07.24.ⓒ 로이터=뉴스1 이종욱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를 주재로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속 미래차 경쟁력 논의'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4일 서울 강남구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속 미래차 경쟁력 논의'를 주제로 제43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을 개최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자동차 분야를 제외하면 작년 한국의 대외 수지는 적자였다"며 "한국의 주력 사업인 자동차가 트럼프 관세와 미래차 전환 촉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포럼의 취지를 설명했다. 정만기 산업연합포럼 회장은 '생산 경쟁력 제고를 통한 미래차 전환촉진 방안'을 주제로 하는 발표에서 한국의 전기차 경쟁력을 세계 3위 수준으로, 자율주행은 하위권으로 진단했다. "한국은 배터리 셀과 전기동력차의 파워트레인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다만 인버터, 컨버터 등의 특정 기술이 미흡하고 공급망 외부 의존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에 관해서는 "한국은 일본보다도 자율주행 기술이 뒤처진다며"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칩 부족, 정부 규제로 인해 국내외 기업들의 기술 발전이 어렵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근로자가 주 52시간 근무를 초과하면 2년 이하의 징역형을 처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고 근로자 파업에 취약하다"며 노동 시장의 유연성 강화를 건의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자문위원은 '자동차산업 대내외 환경 변화와 대응'을 주제로 하는 발표에서 트럼프 발 관세 부과에 대해 △산업 구조 고도화 △내구 품질 경쟁력 강화 △혁신 역량 강화 △국내 생산 유지 △통상리스크 대응 △중소기업의 R&D 기술력 확보 △산업 협력 등을 제시했다. 이 위원은 "한국 자동차 산업 50년 역사상 지금이 가장 어려운 시기"라며 "미국은 어려움에 빨리 대응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는 산업 간, 기업 간, 부처 간 칸막이가 있어 대응이 느리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통을 늘리고 내수와 수출 부진 극복을 위해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중동 910 (주)애드파인더 하모니팩토리팀 301, 총괄감리팀 302, 전략기획팀 303
사업자등록번호 669-88-00845    이메일 adfinderbiz@gmail.com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7-충북청주-1344호
대표 이상민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경율
COPYRIGHTⒸ 2018 ADFINDER with HARMONYGROUP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