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전미경 기자]▲ 문형배 권한대행, 탄핵 인용 결정문 낭독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4월 4일 오전 11시만을 기다렸다. 전날밤은 잠도 설쳤다. 막상 시간이 다가오자 긴장하기 시작했다. 초조함을 떨치려 일부러 요리를 하며 시간을 흘러 보냈다. 요리는 하고 있지만 귀는 다른 곳에 집중한다. 헌법재판관 8인의 등장 소식을 알리는 소리에 음식을 하다 말고 TV 앞에 앉았다. 등장마저 엄숙해 마치 내가 헌법재판소 방청석에 앉아 있는 긴장감이 흐른다. 오늘이 있기까지 수많은 반전과 변수들로 장르가 여러 번 바뀌었다. 어떤 작가도 이보다 더 드라마틱한 대본을 쓰지 못할 것이다(거부권으로 9인체제가 되지 못한 빈자리가 극적으로 보인다). 작년 12월 3일 블랙코미디 같던 비상계엄이 발생하고 4월 1일 탄핵 심판 선고일이 고지되었으니 숏츠가 유행인 시대에 4개월은 보기 힘든 장편 드라마라 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완주했다. 사실, 그동안 탄핵만 되면 일사천리로 진행되어 3월 중순쯤 모든 것이 해결될 줄 알았다. 많은 전문가들이 그렇게 예측했고 사안이 간단하니 길어질 이유가 없다는 게 중론이었다. 그러나 여정은 고비마다 변곡점들이 발생해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렸고 탄핵소추 112일 만에 선고라 역대 최장이니 사상 유례없는 행보긴 하다. 다행인 건 이제라도 시즌을 완결했다는 것이다. (비상계엄 관련 기사로 시즌1,2 작성했다)처음 이 사건이 발생하고 헌재앞까지 도달하는길이 쉽지 않았음을 온 국민이 기억한다. 시민들의 힘으로 비상계엄은 막았지만 탄핵소추 때는 '계엄정당'의 저항으로 어려운 상황이었다. 첫 시도에는 8표가 모자라 부결되었고 그건 어떤 힘으로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수싸움였기에 진퇴양난이었다. 보이콧으로 투표하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 10년차 3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회사로부터 사실상 '권고사직' 제안을 받았다. 회사 사정이 어려워져 A씨가 담당하고 있는 사업 분야가 없어질 수 있으니, 이직처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고민해보라는 것이었다. 제안 자체도 갑작스러웠지만 이어진 퇴사 조건도 선뜻 납득하기 어려웠다. 현금 유용이 어려워져 퇴직금을 주지 못할 것 같으니, 대신 실업급여를 받게 해주겠다는 것이었다. 또 위로금으로 1달치 급여 이상은 줄 수 없다고 했다. A씨는 "그래도 10년 동안 열심히 다녔는데 퇴직금도 못 받고 퇴사를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토로했다.경기가 어려워지면서 권고사직을 진행하는 회사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전에는 중년 이상의 중간관리직이 권고사직의 대상이 됐지만, 최근 들어서는 5년 차의 젊은 직원들까지도 퇴사를 권고받는 경우를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권고사직은 법적 용어는 아니지만, 자진 퇴사나 해고와는 구분돼 행정적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일종의 비자발적 퇴사이기 때문에 구직급여(실업급여) 대상이 된다.180일 이상 근속한 고용보험 가입자라면 최소 4개월에서 8개월까지(50세 이상인 경우 10년 이상 근속했다면 9개월까지) 정부로부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A씨의 경우를 살펴보자. 회사가 A씨에게 퇴사를 권고하고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은 법적으로나 행정적으로나 문제가 없어보인다. 하지만 '퇴직금 대신' 실업급여를 받게 해준다는 부분은 문제 소지가 있다.퇴직금과 실업급여는 성격이 전혀 다르므로, 대체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우선 퇴직금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업주가 1년 이상 근로한 근로자에게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돈이다. 사업주는 근로자가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이때의 평균임금은 퇴사나 중간산정 등 산정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간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이다. 만일 이때의 금액이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해야 한다.반면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새 직장에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