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라면에 토핑 넣고 직접 끓여美서 ‘한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10-26 15:43본문
콜백서비스
K-라면에 토핑 넣고 직접 끓여美서 ‘한강 라면’ 체험으로 인기韓 매장도 ‘관광 필수 코스’ 부상‘슬러프앤십’의 주문대에서 사람들이 줄을 서고 있다. [SNS 캡처]인플루언서가 올린 텍사스 ‘라면 도서관’ 영상 [SNS 캡처][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이름은 도서관이지만, 벽면에는 라면이 빼곡히 꽂아있다.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라면 도서관(Ramyun Library)’이다. 라면 표기는 일본식 표현인 라멘(RAMEN)이 아니다. 한국식 ‘라면(RAMYUN)’이 적힌 K-라면 편의점이다.한국 라면을 직접 끓여 먹는 라면 매장이 입소문을 타고 확산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해 국내에서도 한국 여행의 필수코스로 자리 잡으며 외국인에게 인기다.일반 편의점과 달리 이곳에서는 컵라면보다 ‘봉지 라면’의 수가 월등히 많다. 신라면과 불닭볶음면부터 한국인이 즐겨 먹는 너구리·안성탕면·진라면·참깨라면 등 모든 K-라면을 끓여 먹을 수 있다.라면 가게와의 차이점은 ‘나만의 라면 레시피’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달걀·파·버섯·치즈·만두·소시지 등의 토핑도 직접 골라 매운맛을 줄이거나 새로운 맛을 시도할 수 있다.라면과 ‘꿀조합’인 김치나 단무지, 즉석밥, 삼각김밥 등도 있다. 식사 후엔 슬러시, 아이스크림, 호떡 등으로 입가심한다.특히 K-드라마에서 보던 ‘한강 라면’을 현지에서 체험할 수 있어서 인기다. 매장엔 한강 공원 매점에 있던 ‘즉석 라면 제조기’가 놓여 있다. 일명 ‘한강 라면’은 외국인이 맛보고 싶은 K-푸드로 손꼽힌다. ‘한강에서 라면 끓여 먹기’는 한국 여행 버킷리스트 중 하나로 떠올랐다.미국 매체가 보도한 ‘K-라면 매장’의 인기 [홈페이지 캡처]‘슬러프앤십’ 모습(왼쪽), 현지 댓글 [SNS 캡처]윤미정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미주지역 본부장은 “한국식 즉석라면 전문점이 미국에서 인기를 끌며 점차 늘고 있다”며 “매장 벽면에는 형형색색의 라면 포장지가 가득 채워져 있어 팝아트 같은 인테리어 분위기가 나고, 스피커에서는 K-팝이 흘러나온다”고 설명했다. 현지 반응도 전했다. 그는 “라면을 스스로 만들어 먹는 재미, K-라면에 토핑 넣고 직접 끓여美서 ‘한강 라면’ 체험으로 인기韓 매장도 ‘관광 필수 코스’ 부상‘슬러프앤십’의 주문대에서 사람들이 줄을 서고 있다. [SNS 캡처]인플루언서가 올린 텍사스 ‘라면 도서관’ 영상 [SNS 캡처][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이름은 도서관이지만, 벽면에는 라면이 빼곡히 꽂아있다.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라면 도서관(Ramyun Library)’이다. 라면 표기는 일본식 표현인 라멘(RAMEN)이 아니다. 한국식 ‘라면(RAMYUN)’이 적힌 K-라면 편의점이다.한국 라면을 직접 끓여 먹는 라면 매장이 입소문을 타고 확산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해 국내에서도 한국 여행의 필수코스로 자리 잡으며 외국인에게 인기다.일반 편의점과 달리 이곳에서는 컵라면보다 ‘봉지 라면’의 수가 월등히 많다. 신라면과 불닭볶음면부터 한국인이 즐겨 먹는 너구리·안성탕면·진라면·참깨라면 등 모든 K-라면을 끓여 먹을 수 있다.라면 가게와의 차이점은 ‘나만의 라면 레시피’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달걀·파·버섯·치즈·만두·소시지 등의 토핑도 직접 골라 매운맛을 줄이거나 새로운 맛을 시도할 수 있다.라면과 ‘꿀조합’인 김치나 단무지, 즉석밥, 삼각김밥 등도 있다. 식사 후엔 슬러시, 아이스크림, 호떡 등으로 입가심한다.특히 K-드라마에서 보던 ‘한강 라면’을 현지에서 체험할 수 있어서 인기다. 매장엔 한강 공원 매점에 있던 ‘즉석 라면 제조기’가 놓여 있다. 일명 ‘한강 라면’은 외국인이 맛보고 싶은 K-푸드로 손꼽힌다. ‘한강에서 라면 끓여 먹기’는 한국 여행 버킷리스트 중 하나로 떠올랐다.미국 매체가 보도한 ‘K-라면 매장’의 인기 [홈페이지 캡처]‘슬러프앤십’ 모습(왼쪽), 현지 댓글 [SNS 캡처]윤미정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미주지역 본부장은 “한국식 즉석라면 전문점이 미국에서 인기를 끌며 점차 늘고 있다”며 “매장 벽면에는 형형색색의 라면 포장지가 가득 채워져 있어 팝아트 같은 인테리어 분위기가 나고, 스피커에서는 K-팝이 흘러나온다”고 설명했다. 현지 반응도 전했다. 그는 “라면을 스스로 만들어 먹는 재미, 한국식 토핑을 마음껏 조합한 나만의 맛, 한국 편의점 문화 경험이 외국인에게는 신선하고 흥미롭게 느껴진다”고 전했다.댈러스 ‘라면 도서관’은 지난 2023년 12월 문을 열었다. 루이지애나와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슬러프앤십(Slurp&Sip)’과 버지니아주의 ‘라면집(The Ramyun Zip)’도 유사 매장이다.미국의 유명 외식업 매체인 이터(
콜백서비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