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빛 조명의 광안대교와 소등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푸른빛 조명의 광안대교와 소등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2 13:33

본문

푸른빛 조명의 광안대교와 소등된 광안대교 [부산시설공단 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매년 4월 22일, 밤 8시가 되면 부산 광안대교의 불이 꺼진다.이뿐 아니다. 수원 화성행궁, 송도센트럴파크 등도 마찬가지. 아파트는 물론, 주요 정부청사 건물이나 기업 건물들도 그렇다.바로 이날은 ‘지구의 날(earth day)’이다. 전 세계 200여개국 10억명 이상이 온·오프라인에 모인다.지구의 날 유래는 1969년까지 거슬러간다. 당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해안에선 대규모 유정 사고가 터졌다. 무려 300만갤런 이상의 기름이 바다에 퍼졌다. 2007년 태안 기름 유출 사고(1254만ℓ, 약 331만 갤런)와 유사한 규모다. [지구의 날 공식 홈페이지 캡쳐] 불의의 사고는 해양생태계에 끔찍한 죽음을 몰고왔다. 바닷새, 돌고래, 물개, 해양식물 등 수많은 해양 동식물이 파괴됐다. 이후 1970년 4월 22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게이로드 넬슨 상원의원은 인간이 야기한 환경파괴를 잊지 말자는 취지의 행사를 제안한다. 대학생이던 평화운동가 헤이즈와 함께 첫 행사를 여는데, 이 행사명이 ‘지구의 날(earth day)’이었다. [123rf] 심각한 환경파괴를 목도한 이들의 동참은 상상을 뛰어넘었다. 2000만명 이상이 동참, 연설을 듣고 토론을 벌였다. 친환경 실천법을 활발히 공유했다.이후 매년 행사를 거듭하며 지구의 날은 각종 환경 현안을 전 세계가 함께 고민하는 세계적 행사로 성장했다. 지구 온난화, 물 위기, 플라스틱 쓰레기, 기후변화 등 매년 주제도 변한다. 올해 주제는 ‘아워 파워 아워 플래닛(OUR POWER, OUR PLANET)’이다. [123rf] 국내에서도 1995년부터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지구의 날 행사를 진행했으며, 2009년부턴 정부 차원에서 지구의 날이 포함된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올해 기후변화주간 주제는 ‘해보자고 기후행동! 가보자고 적응생활!’이다.오늘 오후 8시부턴 10분 동안 지구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전국에서 조명을 동시에 끄는 소등 행사가 열린다.정부청사(서울, 과천, 세종) 등 공공기관을 비롯해 전국 공동주택(아파트), 기업건물 및 지역 상징물(수원 화성행궁, 부산 광안대교, 송도센트럴 대전서 열린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를 방문한 시민들이 각종 과학 체험 전시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에서 16일부터 20일까지 5일 간 펼쳐진 대한민국 최대 규모 과학축제가 56만명이 몰렸다.대전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 주최한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결산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역대 과학축제 최다 방문객을 기록한 것이다.올해 축제는 '대한민국 과학축제'와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을 통합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됐다.엑스포과학공원과 대전컨벤션센터 일원에서는 드론 스포츠 체험, 사이언스 어트랙션관, 로봇카페 등 첨단 과학 체험, 다양한 공연 등이 펼쳐져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가장 많았으며, 과학체험 부스는 이른 아침부터 긴 대기행렬이 이어졌다.대전시민천문대의 별축제, 트랜스포머 로봇 포토존, 과학공감 퀴즈쇼, 사이언스 매직쇼 등 체혐형 프로그램도 큰 인기를 끌었다. 대전 기업과 연구기관들의 홍보관에도 관람객이 몰리며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18~19일 열린 '제10회 세계과학문화포럼'에는 2,400여명이 참여하고, 5개국 주한대사관이 함께해 과학축제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다. 대전문화재단이 선보인 '문학정원 with 사이언스'도 과학과 문화의 융합 프로그램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다만, 큰 기대를 모았던 야간 열기구 체험은 기상 악화로 일부 일정이 취소돼 아쉬움을 남겼다.이장우 대전시장은 "과학과 문화 인프라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성격의 3개 축제가 성공적으로 통합돼 대전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과학수도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말했다.한편, 매년 10월에 개최되던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이번 통합 개최를 위해 4월로 일정을 조정했다. 29회째인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지난해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과 통합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에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이 합류하며 3개 행사가 통합 개최됐다.최두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중동 910 (주)애드파인더 하모니팩토리팀 301, 총괄감리팀 302, 전략기획팀 303
사업자등록번호 669-88-00845    이메일 adfinderbiz@gmail.com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7-충북청주-1344호
대표 이상민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경율
COPYRIGHTⒸ 2018 ADFINDER with HARMONYGROUP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