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 꿀벌 개체 수가 줄어 이른바 '꿀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5-20 14:02본문
최근 우리나라에서 꿀벌 개체 수가 줄어 이른바 '꿀벌 실종' 문제가 대두된 가운데, 산림청이 꿀벌 보호와 양봉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9년까지 밀원수림 2만 ㏊를 추가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밀원수는 아까시나무와 백합나무, 헛개나무 등 벌꿀의 원천이 되는 수종으로 현재까지 20여 종이 밀원수로 분류돼 있으며, 산림청은 꿀벌 생존 환경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밀원수들을 추가 발굴한다는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사고나 질병·장애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무너진 신체 기능을 잘 회복해야 평범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평균 수명 연장으로 인한 고령화 시대에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재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인데요. 삶의 질을 높이는 제3의 의학, 재활 치료에 대해 경북 권역 재활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남태우 과장과 알아봅니다.[김혁 리포터]교통사고 후 척수 손상을 진단받아 현재 하반신이 마비되었다고 하는데요. 걷는 게 굉장히 불편하고 어떨 때는 제대로 걷지도 못한다고 하는데요.얼마 동안 재활 훈련해야 하는 건지, 치료는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요?[남태우 재활의학과 과장]현재 걷기 힘들 정도로 하지 마비가 심하고 감각이 완전 손실된 걸로 봐서 척수 손상 정도가 좀 심할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하지 관절 구축 예방을 위해서 수동 관절 운동을 하고, 기립대를 이용해서 다리의 근육들에 계속 자극을 주는 훈련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그리고 지금 서거나 걷는 훈련하기까지 시간이 조금 많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 생활을 위한 작업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김혁 리포터]치료 기간은 어느 정도 걸릴 거라고 생각되십니까?[남태우 재활의학과 과장]기간은 딱히 정해져 있는 건 아니고 환자의 근력이 호전되는 정도에 따라서 짧게 목표를 잡고 치료를 계속 이어가야 하겠습니다.[김혁 리포터]이번 사연은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모시고 있는 따님의 사연입니다. 딸의 입장에서 어머님이 최근 들어서 치매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걸 느낀다고 하네요. 심한 치매 증상은 재활 치료로도 회복이 쉽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너무 좌절하고 있는데요?[남태우 재활의학과 과장]안타깝게도 치매 진행은 재활 치료로 막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재활 치료를 통해서 기능 저하를 최소화하고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최대한 오랫동안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 수는 있습니다.[김혁 리포터]하반신 마비 아버지를 간병 중인 40대 주부의 사연입니다. 척수 수술 후에 재활 중인 아버지에게 욕창이 생겼다고 합니다. 의사 선생님들이 욕창이 3기다, 4기다 판단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욕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